예전에는 제어판에서 그냥 하면 되었는데 언젠가 안 보이는데… XP 부터 인가?
암튼 실행다이얼로그(WinKey + R)에서
control userpasswords2
를 실행하면 뜨는 창에서
-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항목을 체크 적용
- 다시 체크를 빼고 자동 로그인을 원하는 유저를 아래 리스트에서 선택후 적용
- 패스워드 입력
- 완료…
예전에는 제어판에서 그냥 하면 되었는데 언젠가 안 보이는데… XP 부터 인가?
암튼 실행다이얼로그(WinKey + R)에서
control userpasswords2
를 실행하면 뜨는 창에서
DNS: Domain Name System
흔히 사용하는 www.bspfp.pe.kr 과 같은 형식을 도메인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이름을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은 DNS라고 합니다.
DNS 서버가 이런 변환을 매번하기에는 상당한 부하가 있고, 대부분 DNS 호스팅 업체는 쿼리 수량으로 사용료도 받고… 이런 저런 이유로 대부분의 OS가 DNS 조회 결과를 캐싱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장치들도 마찬가지이고요
Windows에서 DNS 캐싱 정보를 지우러면 명령 프롬프트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ipconfig /flushdns
Linux에서는 nscd 또는 dnsmasq 또는 named 서비스를 재시작 하면 됩니다.
Mac에서는 dscacheutil -flushcache
구형 Mac에서는 lookupd -flushcache
공유기를 사용한다거나 방화벽 설정 문제로 3389 포트를 사용 못하는 경우를 위한 방법
Windows에서 포트 번호를 바꾸는 기본 UI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역시 레지스트리를 수정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Server/WinStations/RDP-Tcp/PortNumber
위 값을 원하는 값으로 수정한 뒤에, Win + Break 로 시스템 정보창을 열어서 원격 설정을 통해 원격 데스크탑 서비스를 활성화한다
이미 원격 데스크탑을 활성화 한 경우에는 컴퓨터를 리부팅하거나 아래와 같은 명령을 입력하여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net stop TermService net start TermService |
이제 xxx.xxx.xxx.xxx:port 형식으로 접속을 하면 됩니다.
노트북을 집과 직장에서 사용할 경우…
집에서는 공유기를 통한 DHCP 사용, 직장에서는 고정 IP
요새는 시대가 좋아져서 DHCP 시도 후 실패시 고정 IP 사용 뭐 이런 옵션이 가능하긴 한데…
이렇게 하더라도 일단 시도하는 시간이 걸려 조금 짜증…
그렇다고 매번 제어판을 열어 설정하기는 귀찮고…
netsh 로 해결해 봅시다.
아래 내용을 적당히 home.cmd, office.cmd 처럼 파일로 만들어 처리하면 더블클릭 만으로 해결됩니다.
가정
연결 식별자: 로컬 영역 연결
집
DHCP 사용
직장
IP: 123.123.123.12
Subnet Mask: 255.255.255.0
Gateway: 123.123.123.1
DNS: 213.213.213.10
방법1
Home.cmd
@echo off
netsh -c int ip set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 source=dhcp
netsh -c int ip set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source=dhcp
Office.cmd
@echo off
netsh -c int ip set address name=”로컬 영역 연결” source=static addr=123.123.123.12 make=255.255.255.0 gateway=123.123.123.1 gwmetric=0
netsh -c int ip set dns name=”로컬 영역 연결” source=static addr=213.213.213.10 register=PRIMARY
방법2
일단 아래 2개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입력하는 것입니다. (경로는 C:\NetConf 로 가정합니다.)
집에서 할 일
제어판으로 DHCP 사용하도록 설정
C:\NetConf> netsh -c int dump > home.netsh.dump.txt
직장에서 할 일
제어판으로 고정 IP 사용하도록 설정
C:\NetConf> netsh -c int dump > office.netsh.dump.txt
Home.cmd
@echo off
netsh -f home.netsh.dump.txt
Office.cmd
@echo off
netsh -f office.netsh.dump.txt
위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IP 를 바꿀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netsh 은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엄청난 기능들이 있으니 한번 공부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군요…
한글 Windows 라면 도움말이 한글로 친절하게 나오므로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Cygwin]
편리하게 관리하며 사용할 수 있다
[Minimalist GNU for Windows]
MinGW이라고 하는 소프트웨어 집합?
최대한 가벼움을 유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Windows Subsystem for Linux]
Bash on Ubuntu on Windows라고도 한다. (apt 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설치, 관리를 하니까?)
그냥 기분만 낼 수 있고 쓸모는 없다. (직접 사용해 본 결과 go language조차 실행이 안되고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